왜 마당이 있는 2층 주택 뿐일까.

일반인들에게 각인되어 있는 #전원주택 에 대한 이미지 중 한가지는 소소한 개인적인 로망과 어우러진 ‘마당이 있는 2층 주택’ 이란 이미지입니다. ‘이미지’란 경우에 따 유용한 팁이 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 다소 편향되고 고착화된 생각의 한계를 규정짓기도 합니다. 흔히 생각하는 ‘#마당 이 있는 2층 주택’ 이란 생각들도 다소 고착화된 집에 대한 Read more…

집의 다양한 가치를 실현하는 체계적인 프로세스와 솔루션

현대의 거주함의 특성은 도시환경과 더불어 다양한 양상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단독주택 이란 #집 에 한정되었던 #거주성 의 개념은 이제 더는 #주택 에 한정된 개념이 아니라, 다양한 가치와 방식으로 변화되고 있습니다. 30평 짜투리 땅을 활용한 #소형주택 #집짓기 는 더이상 낯설거나 상상의 거주 방식이 아니며, 오래된 단독주택을 #리모델링 하여 사무실, 작업실, 판매시설 Read more…

개성 있는 테라스와 정원이 있는 나만의 단독주택

#전원주택 과 #단독주택 이란 #집짓기 에서 #정원 은 빠질 수 없는 중요한 대상일 것입니다. 심지어 #집 을 짓는 가장 이유 중 하나가 #마당 과 정원이 있는 집에서 살기 위함이라고 흔히 대답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정원과 마당은 주택 한 켠에 남는 공간을 활용하여 나무 몇 그루 심는 것이 아닐 것입니다. 마당과 정원에 Read more…

부실공사 등 현장 관리, 감독이 필요한 건축주

일반적인 #건축사 의 업무 범위는 #설계 와 #감리 라는 업무로 규정되고 있습니다. 제도 개선을 통해 #단독주택 등 #소규모건축물 설계, 감리를 분리시행하고 있는데, 쉽게 말해 설계자가 직접 감리 행위를 하지 못한다는 의미입니다. 제도의 취지가 있지만 현실적인 측면에서 다소 불합리한 제도이지 않을 수 없습니다. 다시말해 건축주 입장에서 실효성 있는 감리 행위가 어렵다는 Read more…

합리적이고 투명한 자금 집행을 통해 집을 짓고 싶다면?

사업관리 CM 혹은 PM이란? #단독주택 등 #집짓기 #공사비 문제에 있어 합리적이고 투명한 자금 집행을 통해 집을 짓고 싶은 마음은 #예비건축주 누구나 공통된 생각일 것입니다. 집짓기에서 이러한 합리적인 자금 집행 방법은 생각보다 꽤 전문성이 요하는 부분입니다. 우선 실질적인 공사비의 기준을 마련하는 #건축설계 단계부터 면밀한 고려가 필요할 것입니다. 그리고 #시공 과정에서 단계별 Read more…

집 짓기는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할까?

#집 #House 을 짓고자 마음을 먹고 곰곰히 생각해보면, 막상 어디서 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하는지 아리송한 대상이 다름 아닌 #집짓기 입니다. 우리가 아프면 병원에 가고 약국에 가야 함을 당연하게 생각하는 것처럼 집짓기에도 이러한 자명한 주체나 대상이 명확 했으면 좋겠지만, 현행 우리의 법령과 제도 속에는 딱히 이러한 집짓기 주체를 명확하게 명시하지 못하는 Read more…

보편적 집짓기를 위한 표준주택의 필요성에 대한 제언

#주거 #Dwelling 건축은 ‘주거 + 건축’ 이라는 속성 상 소위 #표준화 #standardization 가 필연적일 수밖에 없다. 주거용 건축물은 왜 표준화가 필연적인가? 라는 주제는 다소 장황해질 수 있음으로 논증은 일단 생략한다. 사실 보편적 #집짓기 란 슬로건 또한 이러한 주거용 건축물의 표준화와 관련된 생각의 연속선상에 있다. 페이퍼 웍으로 머물러 있는 표준화는 의미가 Read more…

수안동 상가주택

합리적인 주택 공사비 산정은 시공의 무형의 가치를 이해하는 것 부터

#단독주택 등 #소규모건축물 #집짓기 에서 합리적인 #공사비 산정은 #비교견적 을 통해 시공사를 선정하는 것이 아니라, 합리적인 #설계행위 의 연속선상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이자 결과물이라는 점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 특히 #단독주택 등 #소규모건축물 시장에서 일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시공사 선정을 위한 비교견적 작업은 다소 의외겠지만, 다분히 독소적인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시 Read more…

성산동 상가주택

집의 주방은 가구나 인테리어가 아닌 집주인의 삶

적절한 싱크대 높이는 얼마일까? 싱크볼의 크기와 깊이는 어느정도가 적당하며, 싱크볼이 두 개는 어떨까? 음식물 처리기는 설치해야 하나? 설치한다면 어떤 제품을 설치해야 하나? 그리고 싱크대 상단과 상부장 하단의 적절한 치수는 어느 정도이며, 과연 상부장은 필요하긴 한걸까? 정수기와 전자렌지는 어디에 두어야 할까? 나만의 커피 테이블을 별도로 두고 싶은데 괜찮을까? 대부분 주방가구 마감은 Read more…

단독주택 설계 시공은 종합건설이 능사가 아니다.

큰 일은 다 끝났다며 마무리만 하면 된다고 생각한지 한달째. 한달째 마무리만 하고도 아직도 이런저런 뒷 손이 가기 마련인 것이 집짓기 입니다. 내역에도 없는 (내역서 작성하고 한 공사는 아니지만) 애매한 일들이지만 시공 주체이기 때문에 할 수 밖에 없는 그렇고 그런 일들이 적지않습니다. 홈 그라운드 주변이면 어렵지 않을 수 있는 일들을, 원정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