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짓기는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할까?

#집 #House 을 짓고자 마음을 먹고 곰곰히 생각해보면, 막상 어디서 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하는지 아리송한 대상이 다름 아닌 #집짓기 입니다. 우리가 아프면 병원에 가고 약국에 가야 함을 당연하게 생각하는 것처럼 집짓기에도 이러한 자명한 주체나 대상이 명확 했으면 좋겠지만, 현행 우리의 Read more…

목조주택도 디자인이 필요하다.

#목조주택 은 가장 합리적인 보편적 #집짓기 방식 입니다. 하지만 모든 목조주택 집짓기가 모두 합리적인 보편적 집짓기는 아닐 것입니다. 목조주택은 목조주택 답게 설계되고 시공될 때 목조주택의 합리성을 획들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목조주택은 목조주택의 고유한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그렇다고해서 목조주택은 특별한 Read more…

보편적 집짓기를 위한 표준주택의 필요성에 대한 제언

#주거 #Dwelling 건축은 ‘주거 + 건축’ 이라는 속성 상 소위 #표준화 #standardization 가 필연적일 수밖에 없다. 주거용 건축물은 왜 표준화가 필연적인가? 라는 주제는 다소 장황해질 수 있음으로 논증은 일단 생략한다. 사실 보편적 #집짓기 란 슬로건 또한 이러한 주거용 건축물의 표준화와 Read more…

수안동 상가주택

합리적인 주택 공사비 산정은 시공의 무형의 가치를 이해하는 것 부터

#단독주택 등 #소규모건축물 #집짓기 에서 합리적인 #공사비 산정은 #비교견적 을 통해 시공사를 선정하는 것이 아니라, 합리적인 #설계행위 의 연속선상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이자 결과물이라는 점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 특히 #단독주택 등 #소규모건축물 시장에서 일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시공사 선정을 위한 비교견적 작업은 Read more…

아뜰리에 비온후풍경의 보편적 집짓기

보편적 집짓기는 단순한 슬로건이 아니다. #집 이란 대상은 집이 아닌 건축물과는 조금 다른 #건축 일 수밖에 없습니다. 어쩜 가장 건축적인 대상이 ‘집’이란 건축이지만, 근래 일부 건축가들에 의한 소위 조형 중심의 #건축디자인 측면과 이와 반대로 집장사들에 의한 평당공사비 중심의 대상으로 다소 Read more…

비온후풍경의 보편적 집짓기는 소확행

집.짓.기.는 소.확.행. 이어야 합니다. 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이어야 합니다. 집짓기만큼 ‘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이어야 하는 대상은 없을 것입니다. 말 그대로 Little but, Certain, Happiness 입니다. 소소하지만 확실하고 행복해야 합니다. 하지만 우리의 집짓기는 다소 번거롭고, 불확실하며, 행복하지 않은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왜’ 그럴까요? Read more…

성산동 상가주택

집의 주방은 가구나 인테리어가 아닌 집주인의 삶

적절한 싱크대 높이는 얼마일까? 싱크볼의 크기와 깊이는 어느정도가 적당하며, 싱크볼이 두 개는 어떨까? 음식물 처리기는 설치해야 하나? 설치한다면 어떤 제품을 설치해야 하나? 그리고 싱크대 상단과 상부장 하단의 적절한 치수는 어느 정도이며, 과연 상부장은 필요하긴 한걸까? 정수기와 전자렌지는 어디에 두어야 할까? Read more…

단독주택 설계 시공은 종합건설이 능사가 아니다.

큰 일은 다 끝났다며 마무리만 하면 된다고 생각한지 한달째. 한달째 마무리만 하고도 아직도 이런저런 뒷 손이 가기 마련인 것이 집짓기 입니다. 내역에도 없는 (내역서 작성하고 한 공사는 아니지만) 애매한 일들이지만 시공 주체이기 때문에 할 수 밖에 없는 그렇고 그런 일들이 Read more…

전원주택, 집짓기를 위한 토지에 대한 다양한 생각과 접근방법이 필요

사물은 늘 사람의 주관에 따라 다른 가치를 부여 받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토지라는 대상은 부동산이란 또 다른 주관에 의해 훨씬 더 많은 왜곡이 있는 대상입니다. 현대 사회에서 토지는 개인의 자산이기도 하지만, 공공의 자원임과 동시에 함께 거주하는 사람들의 환경을 구성하는 대상이기도 Read more…

집짓기에서 무엇보다 필요한 것은 조력자이다.

집짓기를 결심하고 난 후 가장 혼란스러운 점 중에 하나는 각종 매체 속에 등장하는 수많은 정보와 이야기들이다. 예비건축주들이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부터, 창호 선정은 어떻게 하고, 단열재 등급은 어떻게 하고 등, 외 밖에도 다소 어려운 기술적인 내용들까지 공부하면 공부할수록 집짓기가 쉽지 Read more…

Desmond Purpleson

CEO

Locavore pinterest chambray affogato art party, forage coloring book typewriter. Bitters cold selfies, retro celiac sartorial mustac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