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주와 건축가의 소통이 중요한 집짓기

Published by Jihun Jang on

사실 집을 짓는 이유는 매우 단순한 이유일 것입니다. 저마다 각각의 이유는 다를수 있지만, 집짓기 행위의 종착점은 결국 행복한 삶인 것입니다. 하지만 집을 짓고자 하는 이러한 단순한 이유와 달리 집짓기의 과정은 복잡하고 어렵게 느껴지며, 이런저런 소문을 접하고 있노라면 매우 당황스럽고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할지 난감하기 그지 없는 일이 집짓는 일입니다.

건축가들에게는 집짓기의 시작은 당연히 건축가와 함께 시작해야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정작 현실에서 예비건축주는 건축가란 존재와 역할에 대해 정확히 문제의식을 갖고 있지 못하겨, 무엇보다 이야기 한번 들어보고 싶어도 그들이 어디서 어떻게 만날 수 있는지도 애매하며, 어찌어찌 수소문해서 몇 번 만났지만 아리송한 이야기와 무엇보다 천차만별인 설계비 등의 현실을 접하고 있자면, 헷갈리는건 매한가지이지 않을까 합니다.

비온후풍경의 [에세이] 주인을 닮은 집
中 낯선 건축가

https://blog.naver.com/wish01/221434417641



그럼에도 불구하고 집짓기는 건축가와 함께 하는 것이 여러가지 측면에서 합리적이란 말을 할수 밖에 없을 듯 합니다. 가장 큰 이유는 단독주택 등 우리의 소규모건축물 시장은 현실적으로 제도적 측면 및 공급 주체 등의 상황을 고려할 때, 건축가의 조력은 가장 신뢰성 있는 조력자일 것이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집짓기에서는 설계 및 시공 주체들과 건축주의 소통은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비전문가인 건축주의 언어와 생각들을 건축가는 건축적인 언어와 생각들로 번역할 수 있는 전문 집단이며, 집짓기 프로세스 속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리스크들에 대해 상대적으로 가장 합리적으로 건축주 입장에서 조력할 수 있는 주체임은 틀림없어 보입니다.

이러한 관점은 건축가의 역할을 단순히 설계자에 머무르지 않는 이유와 같을 것입니다. 건축가 또한 건축 디자인이란 명분으로 작업의 대상을 단순히 건축가를 위한 작품으로 간주해서는 곤란할 것이며 (적어도 단독주택이란 건축물은 특히), 스스로 설계자란 테두리에서 건축사법 운운하며 적당한 입장정리를 하고자 하는 모습 또한 한국사회의 집짓기 현실을 고려할 때 다소 피동적인 모습이지 않을까 합니다.

비온후풍경의 [에세이] 주인을 닮은 집
中 전문가와 다른 건축가

https://blog.naver.com/wish01/221434438336



더불어 집짓기의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건축주와 건축가의 소통 문제입니다. 개인적 경험으론 건축주는 건축에 비전문가이기 때문에 건축주의 표현은 당연히 건축적인 표현이 될 수 없습니다. 이러한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들을 오롯이 건축적인 문제로 옮겨 오는 것은 건축가의 가장 필수적인 덕목인 것입니다.

건축주 또한 건축가의 해석과 생각의 얼개들을 함께 사유하고 이해해 보고자 하는 노력과 시간이 필요한 법입니다. 집짓기는 어느 누군가의 일방적인 관점 보다는 관계자들과 함께 나눌수 밖에 없는 행위가 다름아닌 집짓기 입니다.

그리고 이왕이면 이러한 사유와 이해의 노력은 보다 일상적이며 구체적인 스스로의 삶에 대한 생각까지 함게할 수 있다면 더더욱 의미 있는 집짓기가 되지 않을까 합니다.

이 부분에서 개인적으로 인상적이었던 프로젝트는 광주 장덕동 단독주택인 안톤씨네 집입니다. 2년이란 비교적 긴 설계기간을 가졌던 프로젝트로 컨설턴트이자 방송인인 안톤씨의 직업 덕분에 비교적 오랬동안 홍보효과?를 누리고 있는 주택이기도 합니다.

건축탐구 집, 대한외국인, 그들이 선택한 집

월간 전원속의 내집 中 안톤 씨네 가족이 사는 법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8670645&memberNo=954004



집에 대한 생각과 문화가 우리와 다른 독일인 건축주인 만큼 설계 단계에서의 소통 또한 일반적인 한국 건축주와 조금 다른 부분이 있었습니다. 간단히 요약하자면 긴 설계기간이 암시 하듯 집에 대해 상대적으로 구체적인 생각들을 가지고 있다는 점인데, 이러한 구체적인 생각들은 스스로의 삶에 대한 생각들과 밀접하게 관계된 구체적인 생각들이란 점입니다. 그리고 건축 및 인테리어 디자인적 부분은 대부분 건축가의 의도를 수용하면서 일부 개인적인 의견을 첨가하여 협의하는 정도였습니다.

집은 단순히 잠을 자고 가족을 위한 공간이란 일반적인 생각 이외에, 일터이기도 하며 외부 손님들과 소통의 장소이기도 하며, 당연히 가족들과 생활을 영위하는 공간이기도 합니다. 관련 인터뷰에서는 인-하우스(in-House) 문화라는 표현을 쓰고 있더군요. 어쨌든 이러한 일상의 생각들은 집을 구성하는 구체적인 요소들에도 당연히 밀접할 수밖에 관계를 가지는 것은 당연할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온후풍경의 [에세이] 주인을 닮은 집
中 외국인 건축주

https://blog.naver.com/wish01/221440064039

광주 장덕동 단독주택, 설계 by 비온후풍경

개인적 경험으로도 건축주와 건축가의 소통과 스킨쉽이 원활했던 집들이 건축주, 건축가 모두에게 만족도 높은 주택이었던 점은 부인할 수 없을 듯 합니다.

집을 짓고자 하는 이유는 간명하지만 생각만큼 쉽지 않은 대상이 집짓기이도 합니다. 다소 낯선 건축가들일 수도 있지만 건축가의 조력과 건축가의 소통을 통한 집짓기는 분명 상대적으로 만족할 수 있는 집짓기에 가장 근접한 방법이지 않을까 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보다 일상적이고 구체적인 삶과 집에 대한 이야기들을 공유할 수 있을때 보다 행복한 집짓기가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아뜰리에 비온후풍경 / OGL Architects


0 Comments

답글 남기기

Avatar placeholder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